본문 바로가기

박기완 코딩교육/박기완의 C언어 독학 입문

C언어를 배우는 이유

 박기완의 C언어 독학 입문 두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1. C언어를 배우는 이유와 
#2. 프로그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C언어를 배우는 이유

 프로그래밍 분야에 입문한다 하면   " C언어부터해~  " 란 소리를 많이 듣게됩니다.

 왜 C언어부터 배우라는 걸까요?

1. 일단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게 됩니다.

 1)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때  컴퓨터 내부에서 어떤과정이 일어나는지 자연스레 알게됩니다.
   (하드디스크에 보관되있던 파일이  램으로 올라오게 되고,  CPU가 램에 올라온걸 한줄씩 읽고 처리하게 됩니다.)

 2)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RAM과 CPU, 하드디스크의 역할을 알게됩니다.

2. 우리가 작성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떤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으로 바뀌게 되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  .c 혹은 .cpp의 확장자를 가진 코드가    .obj란 목적파일 형태로 변경되고 (컴파일) /  .obj파일들이 기계어 형태의 파일로 바뀌는 (링크) 과정을 이해하게 됩니다.
  
3. 포인터라 불리는( C언어의 한 단원 )  문법 덕분에   메모리에 대한 이해와   지역변수, 전역변수등   이후 다른 언어들을 배울때 정말 기초 원리부터 이해가게 만들어줍니다.

4. 변수, 배열, 구조체를 배우면서   c++,java, python 등에 등장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등장 원리를  설명 할 수 있게됩니다.






#2. 프로그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럼 C언어를 이용한다 했을때,  프로그램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바탕화면을 보면  다양한 아이콘들이 놓여져 있습니다.



이런 아이콘들을 보면   .txt형태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도 있고,  png형태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도 있습니다.


또한 위처럼  응용프로그램이란  exe형태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도 존재합니다.


이런 파일들을  WinHex라는 프로그램에서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00~FF 형태의 이상한 숫자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WinHex :  http://www.winhex.com/winhex/hex-editor.html )






 컴퓨터는 전자기계다보니 0과 1로 모든걸 표현합니다.   전기신호가 있으면 1, 전기신호가 없으면 0.

이 두가지의 표현을 2진법이라 부르고,  2진법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해 사용자에게 보여주기엔  너무 길다보니  16진법형태로  바꿔서 보여줍니다.

이런 형태의 모습을  '기계어'로 표현되있다 지칭합니다!


우리가 작성한 C언어 코드는   기계어 형태로 변하면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이 됩니다.












- 프로그래밍 분야 입문자를 위한 길잡이 박기완


 모르는거나 문의사항 생기시면  댓글 혹은  010-4537-7998로 문자 부탁드립니다!



##################

C / C++ 카카오톡 방 만들었어요!  궁금하신 사항은 들어오셔서 물어봐주세요!! c언어 스터디 모집중입니다.

https://open.kakao.com/o/gzbT8rOb